반응형

SerDes(Serializer/Deserializer) 개요

SerDes(Serializer/Deserializer)는 데이터 직렬화(Serialization) 및 역직렬화(Deserialization)를 수행하는 회로 블록으로,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고속 인터페이스(PCIe, USB, SATA, Ethernet, DisplayPort, HDMI, MIPI D-PHY, C-PHY 등) 에서 활용됩니다.


1. SerDes의 동작 원리

SerDes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주요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1. Serializer (직렬화)
    • 다중(병렬) 데이터를 단일 고속 직렬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
    • 병렬 클럭 신호를 직렬화하여 전송 속도를 증가시킴
    • 동기화 및 데이터 정렬 기능을 수행
  2. Deserializer (역직렬화)
    • 직렬로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다중(병렬) 데이터로 변환
    • 클럭 복원 기능 (Clock Recovery)을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동기화
    • 오류 검출 및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


2. SerDes의 필요성

(1) 고속 데이터 전송

  • 병렬 데이터 전송 방식은 클럭 신호와 여러 데이터 라인 간의 스큐(Skew, 신호 간 지연 차이) 문제로 인해 높은 속도에서 신뢰성을 유지하기 어려움.
  • 직렬화하여 단일 또는 적은 수의 신호 라인을 사용하면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 이 향상되고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음.

(2) 핀 개수 감소

  • 병렬 데이터 전송을 사용하면 각 데이터 비트마다 물리적 신호 라인이 필요함.
  • SerDes를 사용하면 핀 수를 줄여 패키지 크기와 PCB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음.

(3) 전력 소비 절감

  • 직렬 인터페이스는 병렬 인터페이스보다 전력 소모가 낮아 저전력 설계에 유리.

3. SerDes의 주요 기술 요소

(1) 직렬화 기법

  • 멀티플렉싱(Multiplexing) : 여러 개의 저속 병렬 신호를 하나의 고속 직렬 신호로 변환
  • 8b/10b Encoding, 64b/66b Encoding : DC 밸런스 유지 및 클럭 복원을 용이하게 함

(2) 클럭 데이터 복원 (Clock Data Recovery, CDR)

  • 직렬 데이터에서 클럭 정보를 복원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복구
  • PLL(Phase-Locked Loop) 또는 DLL(Delay-Locked Loop) 을 사용하여 타이밍 동기화

(3) Equalization (등화)

  • 고속 전송에서 발생하는 ISI (Inter-Symbol Interference) 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
  • TX Pre-emphasis, RX Equalization, DFE(Decision Feedback Equalizer) 등의 기술 사용

(4) 오류 검출 및 보정

  • CRC (Cyclic Redundancy Check), ECC (Error Correction Code), Scrambling 기법을 사용하여 신호 무결성을 유지

4. SerDes의 응용 분야

인터페이스설명

PCIe 고속 컴퓨터 버스, GPU, SSD, 네트워크 카드 등에 사용
SATA SSD 및 HDD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
USB 3.x/4.0 고속 데이터 및 영상 전송
Ethernet (10G, 25G, 100G, 400G) 네트워크 장비, 서버, 데이터센터
DisplayPort, HDMI 디지털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
MIPI D-PHY, C-PHY 모바일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Thunderbolt 초고속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5. SerDes의 신호 무결성 고려 사항

SerDes는 고속 신호를 전송하는 만큼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 SI) 이 중요합니다. 주요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터(Jitter) 관리
    • 클럭 변동으로 인해 데이터 샘플링 오류 발생 가능 → PLL 및 CDR을 활용하여 보정
  2. 신호 감쇠(Attenuation)
    • PCB 트레이스에서 신호 감쇠 발생 → TX Pre-emphasis 및 RX Equalization 사용
  3. 반사(Reflection)
    •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해 반사 발생 → PCB 설계 시 임피던스를 매칭해야 함
  4. 노이즈 및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차폐(Shielding) 및 필터링 기법 적용 필요

6. SerDes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채널 손실 (Channel Loss): 신호 경로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PCB 레이아웃 설계 필요
  • Tx와 Rx 간 Eye Diagram 확인: Eye Opening이 작아지면 데이터 복구가 어려워지므로 충분한 Eye Margin 확보 필요
  • Pre-Emphasis 및 Equalization 조정: 채널 특성에 맞춰 최적화해야 함

7. 결론

SerDes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로, 다양한 인터페이스(PCIe, USB, Ethernet, SATA, HDMI, MIPI 등)에서 사용됩니다.
신호 무결성 및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클럭 복원, 등화(Equalization), 오류 검출 및 보정 기법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SerDes를 활용한 설계에서는 채널 손실, 지터, 반사 등 신호 무결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위의 그림은 SerDes(Serializer/Deserializer) 신호 경로를 나타내며, 고속 직렬 데이터가 송신(Source)에서 수신(Sink)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보여줍니다.


1. 블록별 설명

(1) Source (송신 데이터)

  • 데이터를 생성하는 원천(Source)입니다.
  • 일반적으로 고속 직렬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지털 회로(예: 프로세서, FPGA, ASIC 등)에서 신호를 생성합니다.

(2) Tx (Transmitter, 송신기)

  •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Serialization) 하는 역할을 합니다.
  • 신호 증폭, pre-emphasis(사전 강조) 및 드라이버 기능을 수행합니다.
  • LTI(Linear Time-Invariant) 또는 NLTV (Non-Linear Time-Variant) 동작이 가능함.

(3) Tx IBIS Buffer

  • IBIS(Input/Output Buffer Information Specification) 모델을 사용하여 송신기의 입출력 특성을 모델링합니다.
  • IBIS 모델을 기반으로 전압 스윙, 드라이버 특성, 패키지 임피던스 등을 고려하여 신호가 전송됩니다.

(4) Tx Package (Tx Pkg)

  • 송신기와 채널 사이의 신호 연결을 담당하는 패키지입니다.
  • PCB에서 사용되는 인터포저, 본딩 와이어, BGA(Ball Grid Array) 등의 영향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높은 주파수에서 패키지 손실, 반사 및 지터(Jitter) 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호 무결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5) Channel (전송 채널)

  • 신호가 물리적으로 전달되는 배선이나 PCB 트레이스, 케이블 등의 경로입니다.
  •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ing) 및 LTI(Linear Time-Invariant)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 고속 신호 전송 시 신호 감쇠(Attenuation), ISI(Inter-Symbol Interference), 반사(Reflection),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6) Rx Package (Rx Pkg)

  • 수신기 패키지로, 신호를 IC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입니다.
  • Tx Package와 마찬가지로 신호 손실 및 반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Rx IBIS Buffer

  • Rx(수신기)의 IBIS 모델을 적용하여 신호 복구 및 버퍼링을 수행합니다.
  •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을 유지하고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8) Rx Front End

  • 신호를 수신한 후 증폭(Amplification) 및 필터링(Filtering) 기능을 수행합니다.
  • LTI 또는 NLTV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 Equalization (등화) 기능을 통해 신호 왜곡을 보정할 수도 있습니다.

(9) Rx CDR/DFE

  • CDR (Clock Data Recovery):
    • 송신기의 클럭이 포함되지 않은 비동기 신호에서 클럭을 복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 PLL(Phase-Locked Loop)이나 DLL(Delay-Locked Loop)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타이밍을 맞추는 과정입니다.
  • DFE (Decision Feedback Equalizer):
    • 채널에서 발생하는 ISI(Inter-Symbol Interference)를 줄이기 위해 피드백 루프를 적용하여 신호를 복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채널 감쇠 및 신호 왜곡을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10) Sink (수신기)

  • 수신된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블록입니다.
  • 일반적으로 FPGA, SoC, ASIC 등의 회로에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2. 주요 개념

  1. LTI (Linear Time-Invariant) vs NLTV (Non-Linear Time-Variant)
    • LTI: 선형적인 시간 불변 시스템으로, 고속 신호 처리에서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
    • NLTV: 실제 환경에서는 온도, 전압, 공정(Process Variation) 등의 영향을 받으며, 비선형적인 요소가 발생할 수 있음
  2. Total Channel vs Differential Channel
    • Total Channel: 전체 신호 경로(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하는 모델
    • Differential Channel: 차동 신호(Differential Pair) 전송을 위한 채널
  3. System LTI Impulse Response
    • Tx와 Rx Front-End가 LTI 시스템으로 동작할 때, 전체 시스템의 충격 응답(Impulse Response)을 의미함.
    •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3.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 고려 사항

(1) 클럭 복원 (Clock Data Recovery, CDR)

  • 고속 SerDes에서는 별도의 클럭이 전송되지 않으며, CDR을 통해 신호에서 클럭을 복원해야 함.
  • PLL 기반 CDR이 많이 사용됨.

(2) ISI (Inter-Symbol Interference)

  • 연속된 신호가 이전 신호의 영향을 받아 왜곡되는 현상.
  • DFE(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를 활용하여 보정.

(3) Equalization (등화)

  • 채널에서 발생하는 감쇠와 지터를 보상하기 위해 Tx Pre-emphasis, Rx Equalization, DFE 기법을 적용.

(4) 신호 감쇠 및 반사

  • PCB 레이아웃, 패키지, 커넥터 등에 의한 감쇠와 반사를 최소화해야 함.
  • Differential Signaling(차동 신호) 사용이 일반적.

4. 결론

위의 그림은 고속 SerDes 링크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Tx -> 패키지 -> 채널 -> Rx 패키지 -> Rx -> CDR/DFE -> Sink의 흐름으로 신호가 전송됨.
  •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을 유지하기 위해 Equalization, CDR, DFE, IBIS 모델 등의 기술이 적용됨.
  •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ing)LTI/NLTV 시스템 분석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

고속 SerDes 시스템을 설계할 때 위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최적화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