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피문학(Dermatoglyphics)의 정의

  • 손가락, 손바닥, 발바닥 등에 위치한 피부 무늬의 배열 형태를 연구하는 학문.
  • 지문의 배열 형식은 염색체의 컨트롤을 받아 결정되며, 부모로부터 유전된다.
  • 지문은 태아의 13~19주 차에 형성되며, 평생 변하지 않는다.
  • 지문 패턴의 총수(TRC)는 DNA의 유전적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2. 피문학과 적성 검사

  • 지문에는 개인의 능력, 인격적 특징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적성을 평가할 수 있다.
  • 대뇌의 영역별 특성과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하여 지문과 장문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타고난 성향과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 방법.

edudata_0911.pdf
3.19MB

3. 지문의 역사와 연구 발전

  • 1628년부터 지문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여러 학자들이 지문 패턴을 연구하여 신원 확인, 의학적 분석 등에 활용.
  • 1892년 영국의 **프랜시스 골턴(F. Galton)**이 “Finger Prints”라는 책을 출판하며 지문을 통한 신원 확인 시스템을 발전시킴.
  • 1936년 H. Cummings가 다운증후군 환자의 지문 패턴을 연구함.
  • 1989년 Bagga는 정신분열 환자의 지문 형태를 분석하여 생리학적, 심리학적 관계를 연구함.

4. 지문의 유형과 특징

유형특징분포율

Arch (호형문, 궁상문) 보수적, 안정 지향, 융통성 부족, 신중한 선택 5%
Ulnar Loop (정기문) 감성적, 낭만형, 즉흥적, 분위기에 영향 받음 50% 이상
Radial Loop (반기문) 창의력, 관찰력 뛰어남, 민감함 10% 미만
Double Loop (쌍기문, 이중제상문) 적응력 뛰어남, 다양한 정보 소유, 중재 및 협상력 강함 15%
Whorl (두형문, 와상문, 환상문) 장기 계획 능력, 감정 조절력 뛰어남, 결단력 강함 33%
Accidental (변형문) 기본적인 5가지 문형 외의 특이한 패턴 변동

5. 피문학을 활용한 적성 검사

  • 지문을 분석하여 다중지능 이론과 연결, 개인의 강점과 적성을 찾아준다.
  • 적성 검사 보고서에서는 다음 요소를 분석:
    • 다중지능 우월 순위
    • 인격 성향 분석
    • 학습 유형 및 습관
    • 타고난 재능
    • 적성에 맞는 직업 추천

6. 다중지능 이론과의 관계

  •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반하여 지문 패턴을 분석함.
  • 대뇌의 영역과 연결된 8가지 다중지능:
    1. 대인관계지능
    2. 자기이해지능
    3. 공간지능
    4. 논리수학지능
    5. 신체운동지능
    6. 신체조작지능
    7. 음악지능
    8. 언어지능

7. 학습 유형 및 교육 방법

  • 개인의 지문 유형에 따라 학습 방법이 다름.
  • 주입식, 모방형, 창의적 사고형, 자기주도형 등의 학습 스타일을 분석하여 교육 방향을 제시.

결론

  • 피문학(Dermatoglyphics)은 지문 연구를 통해 개인의 타고난 성향과 능력을 분석하는 학문이다.
  • 적성 검사와 연결하여 개인별 학습법, 교육 방향, 직업 선택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지문의 형성과 패턴은 유전적 요소와 대뇌 발달과 관련이 있으며, 후천적으로 변화하지 않음.
  • 다중지능 이론과 함께 개인의 강점 및 잠재력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