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마트폰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설계할 때 다양한 물리적, 전기적, 열 관리, 신호 무결성 등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제약을 올바르게 설계하지 않으면 신뢰성이 떨어지고, 전력 소모가 증가하거나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1. 물리적 제약 (Physical Constraints)

스마트폰의 크기가 작고 얇기 때문에 기판의 레이어 수, 부품 배치, 기구적 요소 등을 고려해야 한다.

① PCB 크기 및 두께

  • 스마트폰은 얇은 디자인을 요구하므로 PCB 두께는 일반적으로 0.8mm~1.2mm 사이에서 결정됨.
  • 고밀도 인터커넥트(HDI) 기판이 사용되며, 많은 배선을 위해 10~16층의 멀티레이어 PCB가 사용됨.

② 부품 배치

  • AP, PMIC, RF 모듈, 메모리 등 주요 부품의 위치 최적화 필요
    • AP는 스마트폰 중앙에 배치되어 열 관리를 용이하게 함.
    • PMIC는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AP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
    • RF 모듈(Wi-Fi, LTE, 5G)은 안테나 근처에 배치하여 신호 감도를 높임.

③ 기구 설계와의 충돌 방지

  • PCB 설계 시 카메라 모듈, 배터리, 스피커, 커넥터 등의 기구적 요소(Mechanical Constraints)와 간섭이 없어야 함.
  • 커넥터(USB-C, SIM, SD 카드 슬롯 등)의 위치와 PCB의 형상이 일치해야 함.

2. 전기적 제약 (Electrical Constraints)

① 전원 분배 네트워크(PDN, Power Distribution Network)

  • 스마트폰의 고성능 AP는 3GHz 이상으로 동작하며, 10A의 전류를 소비하므로, 전원 레일의 전압 강하(Drop) 및 임피던스를 최소화해야 함.
  • PMIC에서 AP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를 최소화하고, 저임피던스 레이아웃을 설계해야 함.

②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 SI)

  • 고속 신호(USB 3.2, PCIe, MIPI DSI, DDR, UFS 등)의 신호 무결성을 유지해야 함.
  • PCB 설계 시 신호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임피던스 컨트롤, 차동 페어(Differential Pair), 스트립라인(Stripline),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등을 적용.

③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스마트폰은 RF 회로(Wi-Fi, Bluetooth, LTE, 5G, NFC)가 포함되므로, EMI 및 신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차폐(Shielding) 및 적절한 GND 설계가 필요.
  • AP, PMIC, RF 모듈 간의 간섭을 최소화해야 함.

3. 신호 무결성 및 고속 신호 제약

① 고속 인터페이스의 임피던스 매칭

  • DDR 메모리 (LPDDR4/5), UFS, PCIe, USB 등은 고속 신호(>1GHz)를 사용하므로, PCB 설계 시 신호 간섭을 방지해야 함.
  • 50Ω 단일 신호 및 90Ω/100Ω 차동 신호를 유지해야 함.

② 차동 페어 라우팅 (Differential Pair Routing)

  • USB 3.2, PCIe, MIPI DSI, UFS, LVDS 등의 고속 신호는 차동 페어로 설계
    • 차동 신호 간의 길이 차이(Skew)를 5mil 이하로 제한
    • 페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임피던스 변화 최소화

③ Via 사용 최소화

  • 고속 신호 라우팅 시 Via는 신호 반사와 임피던스 변화를 유발하므로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함.

4. 전력 무결성 및 전력 관리 제약

① 전력 경로 최적화

  • 전력 경로는 가능한 짧고 굵게 배선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해야 함.
  • 전원 네트워크(PDN)는 충분한 Decoupling Capacitor(디커플링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전압 변동을 줄여야 함.

② 전력 레이어 분리

  • 고속 신호 및 전력 레이어가 겹치지 않도록 설계
  • VDD 및 GND 레이어는 충분한 구리 면적을 확보하여 저임피던스를 유지해야 함.

5. 열 관리 제약 (Thermal Constraints)

① AP의 발열 제어

  • 스마트폰의 AP는 5W~10W의 전력을 소모하며, 효율적인 열 방출이 필요함.
  • 히트 싱크(Heat Sink),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 방열 필름(Thermal Film), 베이퍼 챔버(Vapor Chamber) 등을 활용하여 열을 분산.

② 열이 민감한 부품 보호

  • PMIC, 배터리, 센서 등의 온도 상승을 방지해야 함.
  • 발열이 심한 AP, RF 칩 근처에는 배터리를 배치하지 않음.

6. 스마트폰 PCB 설계 예제

아래는 스마트폰용 AP와 주변 장치가 포함된 PCB 설계 예제이다.

① AP 및 메모리 배치

  • AP는 PCB 중앙에 배치하여 열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함.
  • LPDDR5 메모리는 AP에 가깝게 배치하여 신호 지연을 최소화.

② RF 모듈 및 안테나 배치

  • Wi-Fi, LTE/5G 모듈은 PCB 상단 모서리에 배치하여 신호 간섭을 최소화
  • 안테나는 스마트폰 외부 프레임에 배치하여 방해 요소를 줄임.

③ 전원 모듈 배치

  • PMIC는 AP와 가깝게 배치하되, 발열이 심한 부분에서 약간 떨어뜨려 배치.
  • 전원 네트워크는 저임피던스 설계를 유지해야 함.

7. 결론

스마트폰 PCB 설계에서는 물리적 제약, 전기적 제약, 신호 무결성, 전력 관리, 열 관리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고속 신호는 임피던스 매칭과 차동 라우팅을 적용해야 함.
  • 전력 경로는 최소한의 손실을 유지하며 설계해야 함.
  • 발열이 심한 부품(AP, RF 모듈)은 기구적 설계와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에 배치해야 함.
반응형

+ Recent posts